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업 내재가치 평가의 꽃 이라고 불리우는 ROE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기업의 존재 목적은 돈을 버는 것 입니다. ROE란 돈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잘 버는지에 대한 판단 지표 라고 이해 하시면 됩니다. 똑같은 10만원을 벌더라도 누군가는 100만원을 투입 할 것이고 누군가는 1,000만원을 투입 할 것 입니다. 즉 투자된 자금 대비 이익이 얼마나 남는지에 대한 중요한 지표이니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1. ROE 의 개념
ROE 는 당기 순이익을 자기 자본으로 나눈 값 입니다. 기업이 자기 자본으로 1년 동안 얼마의 순이익을 만들어 냈는지를 보여줍니다.
"ROE = 당기 순이익 / 자기 자본"
ROE가 높을수록 기업이 자기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높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ROE가 높다? 효율이 더 높다"
여기서 자기 자본이란 기업이 주주들로부터 받은(주식 발행) 자본과 그 이후에 축적된 이익을 합친 것을 의미 합니다. 발행 (주식+유보 이익+자본 잉여금)
2. ROE의 중요성
- 효율성 : 기업이 자기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측정합니다.
- 비교 : 동일 업종의 다른 기업들과 비교할때 유용 합니다. 동일하거나 비슷한 사업을 하는 타 기업과의 효율성 비교가 용이하여 투자 판단에 도움을 줍니다
- 성장 가능성 : 높은 ROE를 가진 기업은 이익을 재투자하여 더 빠르고 큰 성장을 이룰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쌓여 있는 이익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판단을 해야 합니다.
3. ROE 분석 사례
LG생활건강은 2017 ~ 2021 ROE 지표가 하락 했습니다. 하락한 실제 이유는 분자에 해당하는 당기 순이익의 악화가 아닌, 분모의 증가 자기자본의 증가 입니다. 즉 전체 자본에서 빚을 청산하고 자기자본 비중이 늘어났기(현금 유입이 늘어남) 때문입니다.
단순히 ROE 지표만 보고 수익성을 평가 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는데, 위 사레처럼 분모에 해당하는 자기자본의 변동도 함께 살피면 실제로 수익성이 감소한 것인지에 대한 평가를 내릴 수 있습니다. 즉 기업에 대한 평가는 어떤 한 지표만 보고는 오류가 생길 수 있고 여러 지표들과 종합적으로 판단이 필요 합니다.
4. ROE의 단점
- 과대평가 : 높은 레버리지를 사용 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자기자본 비중이 적어 ROE가 과대평가 될 수 있습니다
- 시장 변동성 미반영 : 시장의 변동성은 반영하지 못합니다
- 단기성과 중심 : ROE는 단기적인 성과에만 중점을 둘 수 있어 장기적인 성과를 측정 하진 못합니다
기업의 수익성을 측정하는데 매우 유용하지만 위와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ROE는 단순히 기업의 현재 재무성과만을 반영 하기 때문에 시황,경쟁자,외부 환경 등은 고려 되지 못합니다. 때문에 우리는 ROE만 볼 것이 아니고 다른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을 해야 합니다.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장기투자에 대한 초보자를 위한 쉬운 설명 (0) | 2024.07.21 |
---|---|
성공적인 주식투자를 위한 용어와 개념 : ROIC (2) | 2024.07.19 |
주식 투자 필수 지표 : PBR과 BPS 이해하기 (1) | 2024.07.15 |
주식투자, PER과 EPS 쉽게 이해하기 (3) | 2024.07.14 |
주식투자의 기본기 "시가총액" 에 대한 이해 (1) | 2024.07.12 |